top of page

파라처치와 전통교회 구조 혁신과 협업 통합: 하이브리드 교회로 가는 길

ree

많은 교회들이 파라처치 사역과 전통적인 교회 구조 사이의 역학 관계와 씨름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은 깊은 선교 활동을 유지하면서도 차이점, 긴장감, 균형과 건강을 위한 몇 가지 제안된 경로를 안내합니다. 교회들은 종종 파라처치 사역의 민첩하고 전문화된 에너지와 지역 회중의 언약적, 성찬적, 목회적 깊이 사이에서 갈등을 느낍니다. 이 논문은 명확한 거버넌스, 공통 지표 및 파트너십 규약을 통해 회중("모달") 교회와 선교("소달") 구조를 통합하는 하이브리드 교회 모델을 제안합니다. 우리는 선교 문헌, 하이브리드 조직 이론 및 교회 실천을 참고하여 설계 옵션, 위험 요소 및 단계별 변화 로드맵을 개략적으로 설명합니다.


1) 파라처치와 전통교회의 기회와 긴장관계

1. 역학 이해

파라처치 사역정의: 전도, 제자사역 또는 사회 정의와 같은 전문적인 업무에 중점을 둔 조직(캠퍼스 , 선교 기관, 청소년 운동).

강점:고도로 미션 지향적이고 열정적입니다.유연하고 혁신적이며 기회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종종 강력한 리더와 헌신적인 자원봉사자들을 끌어들입니다.

약점: 목회적 케어를 희생시키면서 행동주의와 결과를 지나치게 강조할 수 있습니다. 책임감이나 균형 잡힌 영적 형성이 부족하여 과로로 인한 번아웃 위험과  "성과 기반 영성"으로 변질될 수 있습니다.

 

전통 교회정의: 지역 단체 내 예배, 성찬, 목회 돌봄, 그리고 전인적인 제자 의식에 뿌리를 둔 회중교회

강점: 장기적인 안정성, 가족 돌봄, 그리고 다세대 커뮤니티를 제공합니다. 예배, 교제, 그리고 사명적  균형을 이루기 쉽고 안정적 리더쉽의 케어를 통한 , 교리적 교육등을  통한 실천을 이루어 갈 수 있습니다.

약점: 내적 사역에 치중하여 고정되고 제도화될 수 있습니다. 미션 긴급성을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 때때로 문화적 변화에 적응하는 데 느릴 때가 있습니다.


2. 파라처치와 전통교회 간의 긴장감

파라처치는 외부로 기울어져 있고(선교, 전도), 전통 교회는 내부로 기울어져 있습니다(형성, 돌봄). 파라처치는 빠르고 유연하며, 교회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입니다. 파라처치는 활동과 봉사를 강조하고, 교회는 예배와 성찬을 강조합니다. 파라처치는 강력한 지도자에게 지나치게 의존할 수 있으며,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입니다.

 

3. 파라처치의 균형을 위한 제안

예배와 휴식의 리듬을 회복: 안식일, 기도, 성찬의 정레화를 만드세요. 구성원 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은 성과나 사역 결과가 아닌 하나님의 자녀라는 점을 상기시켜 줍니다.

공유된 리더십과 책임감: 리더 중심의 파라처치 스타일에서 팀 기반의 장로/목회자 들의 케어로 전환하세요. 과로한 사역이 몇 명에 집중되지 않게하고 다른 일반 리더들도 세워 같이 나누게 하세요.

선교를 교회 생활에 통합: 선교 DNA를 살아있게 하세요: 전도, 구제, 글로벌 선교. 그러나 이러한 활동을 교회의 예배, 교제, 그리고 제자 생활에 포함시키세요. 전인적 제자도가 되도록 양육하세요.

과제 지향적인 사역지양: 기도, 성경공부, 가정 생활, 소명에 대한 믿음을 키웁니다. 구성원들이 일상적인 직업,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를 미션 필드로 보도록 격려합니다.


4. 교회를 위한 실용적인 단계

현재 교회 각 부서를 평가: 어떤 부처가 사람들을 번아웃 되게 하고 있나요? 어떤 부처가 생명력을 불어넣고 있나요?

휴식과 안식의 신학: 사역중심이 아닌 하나님의 은혜 안에 있는 구성원들로 세워갑니다.(목회 돌봄 : 소규모 그룹, 멘토링, 상담.)

선교 중심을 유지: 매주 예배에 선교를 위한 기도, 선교 업데이트를 포함시키세요.

균형감유지: 교회는 교회 내 선교 열정을 버리지 않고 전통적인 교회의 예배, 돌봄, 안정에 뿌리내리는 하이브리드 교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균형은 선교를 위한 불을 살리면서도 회원들을 번아웃으로부터 보호할 것입니다.


2) 하이브리드 교회를 위한 설계 원칙

P1. 교회체제 유지:대중교회(모달교회)의 핵심을 보호하세요: 말씀과 성찬; 규율과 보살핌

P2. 두 구조의 이름을 공개적언급:내규 및 조직 차트에서 모달(대중목회그룹) 대 소달(선교 소그룹) 구조의 언어를 채택하여 기대치가 명확하도록 하세요(예: 일요일 예배 대 평일 캠퍼스 아웃리치).

P3. 하이브리드 지침을 제작하이브리드 조직은 리더가 결정권, 리소스, 지표 및 갈등 조정을 미리 명확히 할 때 번창합니다.

P4. 모호한 선의보다는 언약을 선호:선교적 소달 그룹팀과 서면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합니다: 신학적 약속, 보고체계, 보호 정책, 브랜드 사용 및 종료 조건을 공유합니다.

P5. 구조에 맞는 현상을 측정합니다:회중 지표( 신앙의 직업, 세례, 출석, 소그룹 참여, 회원 돌봄), 선교 지표( 첫 접촉, 복음 대화, 자원봉사 시간,), 재현 가능한  두 구조의  실천은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맥락에 맞는 측정을 강조합니다.


3) 구조적 선택옵션(하나 선택 또는 결합)

1. 내부 선교 허브 (교회 내부의 선교 소그룹 양성)

교회내에 공인된 소그룹 "미션 팀"(캠퍼스, 스포츠, 예술, 자비)을 만듭니다. 예산 라인은 투명하며, 팀은 세션/위원회에 분기별 검토를 통해 실험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2. 계약된 외부 파트너 양해각서(MOU)를 통해 파라처치와 협력

교리, 보호, 데이터/프라이버시보호, 공동 기도 캘린더, 강단 교환, 그리고 공동 자원봉사 경로 등 미션 모델로 삼습니다.

3. 선교소그룹  네트워크:소그룹 선교팀(바리스타, 스케이터, 기술 노동자)들 사이에서 주간 예배 공동체를 승인하는 동시에 모인 교회에 대한 성찬식/목회적 감독등을 실시한다.

4. 멀티사이트 + 미션 파트너십 체결:이미 여러 선교적 소그룹 사이트가 있는 경우, 각 사이트를 하나 이상의 소달 선교팀(예: 학생 사역 및 난민 돌봄 허브와 제휴한 사이트)이 있는 선교적 기지로 취급하세요.


4) 거버넌스정리 

장로회/이사회가 보유하는 권한:

  • 교리와 가르침의 기준

  • 성례전 실행과 교인 명부 관리

  • 예산 승인과 위험 정책

  • 직원 및 사역 리더의 고용/해임 권한

선교팀 리더(소달)가 맡는 영역:

  • 합의된 범위(sandbox) 안에서의 현장 전략과 실험

  • 자원봉사자 모집 및 훈련 경로

  • 분기별 KPI와 영향 사례 보고

  • 아동보호 및 사고 보고 규정 준수

공동 메커니즘:

  • 분기별 선교 리뷰(스토리 + 수치)

  • 연례 신학·실천 감사(정렬 보장)

  • 상설 갈등 해결 조항(장로 2명 + 선교팀 리더 + 중립 자문인) → 이러한 안전장치는 서로 다른 논리를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조직(best practices) 원칙을 반영한다.


5) 협력적 통합의 진행경로:

  • 탐색(Explore) → 훈련(Equip) → 참여(Engage) → 헌신(Embed) →배가(Multiply)

    성도들은 기회를 접하고(탐색), 기초 양육 과정을 마치고(훈련), 단기 사역 랩에 참여하며(참여), 팀에 헌신하고(헌신), 다른 사람을 제자화한다(배가)


6) 변화 관리 로드맵 (9–12개월)

1단계 — 분별 & 설계 (1–3개월)

  • 성도, 파라처치 파트너, 직원과 청취 세션 진행

  • 사역을 모달 vs. 소달 범주로 맵핑

  • 거버넌스 변경안 + 파트너십 언약서 초안 작성

  • 성경·신학적 기초(이중 구조; 혼합 경제) 설교/교육

2단계 — 파일럿 & 훈련 (4–7개월)

  • 2~3개 파일럿 시작 (예: 캠퍼스 알파팀, 이웃 식탁, 직업 준비 랩)

  • 리더 훈련(아동보호, 데이터, 보고 체계)

  • 공유 대시보드와 분기별 리뷰 리듬 가동

3단계 — 내재화 & 배가 (8–12개월)

  • 파일럿 평가 후 성공 사례는 예산과 조직도에 반영

  • 외부 파트너와 MOU 체결, 정렬되지 않은 사역은 종료

  • 리더를 공개적으로 파송, 간증 나눔, 신규 제자 모집


7) 위험과 대응책

  • 선교적 이탈(양쪽 방향 모두): 분기별 리뷰, 교리적 가드레일, 균형 잡힌 대시보드

  • 자원봉사자 소진: 대응: 안식 관행, 팀 리더 임기 제한, 교차 훈련

  • 브랜드 혼란(“우리는 누구인가?”): MOU에 커뮤니케이션 기준 명시, “powered by” 언어가 담긴 공동 브랜딩 행사

  • 파트너로 인한 신학적 이탈:신앙고백 정렬, 연례 신학 감사, 공개 자료 검토권 확보


8) 미니 사례 스냅샷 (적용 가능한 패턴들)

  • 혼합구조 교구: 주일 회중이 주중 카페교회와 스포츠  사역직을 지원—성례와 교리교육에 연결된 상태 유지

  • 비즈니스 선교 허브: 교회가 기업가를 파송, MOU로 멘토링·윤리 기준· 및 강단 보고 규정—회중은 기도와 인턴 모집에 동참

  • 청년 이중 구조 전략: 교회가 청소년을 제자화, 캠퍼스 전문 파트너가 학교 동아리를 운영—데이터 공유·안전 보장·공동 수련회 포함된 언약


9) 신학적 요약

신약은 모인 공동체(모달)와 파송된 팀(소달)을 함께 보여준다 — 예루살렘 교제와 안디옥 파송, 가정교회 돌봄과 사도적 전도단. Winter의 “이중 구조”비전은 우리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둘 다를 선교를 위해 청지기적으로 맡고 있다는 것을 일깨운다.


References (selected)

  • Winter, R. D. “The Two Structures of God’s Redemptive Mission” (modalities & sodalities).

  • Mission-Shaped Church (Church of England), the “mixed economy” of church.

  • Battilana, J., & Lee, M. “Advancing Research on Hybrid Organizing,” Academy of Management Annals (hybrid organizations and governance). SPARK

  • Resane, K. T. “The church and the parachurch: Can the two dialogue in mutuality?” (tensions/partnerships). Gale

  • Lausanne Movement / BAM (church–marketplace integration, partnership posture). BAM Global

  • Stetzer, E. (church planting/multisite insights relevant to structure and governance). ePLACE


소논문의 영어원문 다운로드

Structural Innovation & Collaborative Integration: A Path to Hybrid Churches


コメント


bottom of page